의약품

약을 자몽 주스로 먹어도 될까?

시리약국 2025. 3. 5. 14:39
반응형

 

 



자몽과 약물 상호작용

 

자몽은 비타민C와 칼륨이 풍부하여 건강한 식단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자몽은 특정 약물과 상호작용하여 약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의약품 설명서를 보면 자몽주스에 대한 주의 문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니페디핀이라는 혈압약의 복약안내문 예시입니다.
제일 아래 그림이 있는 부분을 보면 자몽주스를 피하라고 안내가 되어있습니다.
 

출처: 약학정보원

 
 


 

자몽이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종류

 

자몽 주스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약물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콜레스테롤 저하제(-statin, 스타틴 계열 중 일부):
simvastatin (심바스타틴, 대표:조코), ator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 대표:리피토)
2. 고혈압 치료제: nifedipine (니페디핀, 대표:아달라트)
3. 면역억제제: cyclosporine (사이클로스포린, 대표:사이폴엔)
4. 항불안제: buspirone (부스피론, 대표:부스파)
5. 스테로이드: budesonide (부데소니드, 국내 제품은 주로 외용제/흡입제, 대표:풀미칸)
6. 부정맥 치료제: amiodarone (아미오다론, 대표:코다론)
7. 항히스타민제: fexofenadine (펙소페나딘, 대표:알레그라)
 
이 약물들은 자몽과 상호 작용이 가능한 의약품으로
사람마다 상호 작용의 정도가 다르고
섭취한 자몽 주스의 양에 따라 다르기도 합니다.
 
따라서 평소에 식단에 자몽이 많은 사람이라면
복용 중인 약물이 자몽의 영향을 받는지
반드시 의사, 약사와 상담하고
복약안내서, 약품 설명서를 잘 읽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몽 주스가 약물에 미치는 영향

 
 
많은 약물들은 소장의 CYP3A4라는 효소를 통해
분해되거나 대사 됩니다.
자몽 주스는 CYP3A4라는 효소의 작용을 방해해서
약물의 약효에 영향을 줍니다.
또한 장의 organic anion transporting polypeptide(OATP, 유기 음이온 수송체)를 방해해서
OATP를 통해 흡수되는 약물의 약효가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약물인 atorvastatin(아토르바스타틴, 리피토)을 복용 중에
많은 양의 자몽 주스를 마시면 (하루 1.2L 이상)
atorvastatin이 CYP3A4를 통해 분해되는 배설 작용이 억제되므로
약물이 체내에 과도하게 머물게 되면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간 손상, 근육 손상 위험이 커질 수 있고,
심한 경우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항히스타민제인 fexofenadine (펙소페나딘, 알레그라)의 경우는
OATP를 통해 흡수되는 약물
자몽 주스뿐 아니라 과일 주스 (사과, 오렌지 등)과 병용 투여 시
약효가 20% 이상 감소합니다.
이는 과일 주스의 naringin(나린진)이라는 성분이
OATP를 억제하는 것 때문이라고 밝혀졌습니다.
naringin은 대표적인 자몽의 쓴맛 성분인데 다른 과일에도 들어있습니다.
항암 활성, 혈중 지질 감소,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 성분입니다.
 
 

결론

 
자몽과 자몽 주스는 건강에 좋은 과일이지만,
특정 약물과 상호 작용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복용 중인 약물이 자몽 주스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의사, 약사와 상담하고,
약품 설명서, 복약 지도서를 잘 읽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식단으로 자몽 주스를 많이 드신다면
안전한 약물 복용을 위해서 꼭 알아 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news-medical.net,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Christina S Won et al., 2013, A modified grapefruite juice eliminates two compound classes as major mediators of the grapefruit juice-fexofenadine interaction: an in vitro-in vivo "connec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