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당뇨 병리 - 1형 당뇨, 2형 당뇨, 임신성 당뇨, 약물 유발성 당뇨

시리약국 2025. 2. 14. 14:58
반응형

 
경구 당뇨약 약사 가이드
The Pharmacist's Guide to Oral Diabetes Drugs

 

당뇨 유형

 

1. Type1 Diabetes mellitus (T1DM), 1형 당뇨
자가 면역 질환입니다.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충분한 인슐린 분비가 어렵습니다.
췌장이 점점 파괴됨에따라 인슐린이 줄어들어 당뇨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로 어린시절에 진단됩니다.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2. Type2 Diabetes mellitus (T2DM), 2형 당뇨
췌장 베타세포에서 생성된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대사 질환입니다.
주로 성인이 되어 진단됩니다.
하지만 요즘은 어린이와 청소년도 흔하게 진단됩니다.
당뇨 환자의 90%은 2형 당뇨입니다.
 
3. Gestational DM (GDM), 임신성 당뇨
기존 당뇨가 없는 임산부에게 진단되는 당뇨입니다.
당뇨가 임신중 후반에 일시적으로 나타나지만
임신성 당뇨를 진단받은 임산부는
출산 후에도 2형 당뇨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4. Drug-induced DM, 약물 유발성 당뇨
스테로이드, 타크로리무스(면역억제제)등 약물로 인해 당뇨 증상이 나타납니다.

 

 

당뇨의 병태생리학

 

T2DM 환자의 가장 큰 문제는 인슐린 저항성입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정상적인 인슐린 농도에도 세포가 당을 흡수해서 에너지로 이용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인슐린이 있어도 세포에 기능을 못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위험 요인으로는

과체중, 고혈압,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신체적으로 비활동적인 생활, 임신성 당뇨 병력, 고위험 인종,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출생시 저체중 등이 있습니다.  

 

실제 환자의 경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결합되어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적고

간에서 포도당 분비가 증가하고

근육 및 세포의 포도당 흡수가 감소하게 됩니다.

결국 혈액 중에 포도당이 많아지는 것이 T2DM입니다.

 
 

당뇨 합병증

 

당뇨가 위험한 이유는 합병증 떄문입니다.

혈관에 당이 많아지면 혈류에 문제가 생기는데

미세혈관과 큰 혈관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눈, 신장, 신경의 미세혈관의 혈류에 문제가 생기고

뇌, 심장, 손발 말단에 혈류가 정체됩니다.

 

출처: tl;dr pharmacy

 

 

 당뇨 진단 평가

 

당뇨의 전형적인 증상은 다뇨, 다음, 다식이 있는데

자주 소변을 누고, 갈증이 증가하고, 자주 배고픈 증상입니다.

또는 피로감 증가, 체중 감소, 흐릿한 시야, 잦은 감염과 상처 치유가 느려지는 것이 있습니다.

T1DM은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T2DM은 서서히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혈액검사로 혈당검사를 진행하는데

무작위 혈당검사, 공복 혈당검사, 경구 포도당 내성 검사, Hemoglobin A1c test 등으로 진단을 합니다.

A1c test는 지난 3개월동안 평균 혈당수치를 알 수 있습니다.

DM판정은

무작위 혈당검사에서 200mg/dL 이상,

공복혈당 126mg/dL이상 (정상 100미만),

포도당 내성 검사 126mg/dL 이상 (정상 140미만),

A1c 6.5% 이상 (정상 5.7미만)

입니다.

 

 

T2DM 혈당 목표

 

환자에 따라 목표 수치가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A1c: <7%

공복 혈당: 80 - 130 mg/dL

식후 최대 혈당: < 180mg/dL

 

입니다.

 

혈당강하제 종류
glucose-lowering agents

 

1. Sulfonylureas (second generation)
2. Biguanides (a.k.a. Metformin)
3. Meglitinides
4. Thiazolidinediones
5. DPP-4 inhibitors
6. SGLT2 inhibitors
7. Alpha-glucosidase inhibitors
8. Bile acid sequestrants
9. Dopamine-2 agonist (bromocriptine)


 

자세한 당뇨의 약물치료는 다음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tl;dr pharmac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