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한국 약국에 유통되는 덱스판테놀 연고, 크림 첨가제까지 리뷰

시리약국 2024. 2. 6. 00:14
반응형

현재 약국에 유통되는 일반의약품 덱스판테놀 연고와 크림 첨가제까지 리뷰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된 유효 성분 Dexpanthenol 50mg/g을 함유하는 동일성분 연고와 크림은 6가지입니다.
(2024년 2월 현재 유통되는 제품)
 
유효 성분은 동일 하지만 첨가제가 달라 제형이 차이가 나고 발림성 또한 다릅니다.
2023년에는 크림형태로 출시된 두 제품도 있는데 역시 유효 성분의 농도는 50mg/g로 동일하며
크림 형태로 발림성을 개선한 제품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제약회사는 다르지만 제조회사와 첨가제가 동일하여 아마 내용물은 동일하나 판매회사만 다른 형태가 아닐까 추측합니다.
 
연고 1g 에 덱스판테놀 50mg이라면 나머지 950mg이 첨가제로 되어있습니다.
첨가제와 발림성을 비교하면 좀 더 나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을 것 같아 찾아서 모아보았습니다.
 
 

덱스판테놀 연고와 크림의 첨가제 리스트

 

  1. 비판텐연고(바이엘코리아): 백납, 세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유동파라핀, 정제라놀린, 정제수, 정제아몬드유, 파라핀소프트납, 프로테진엑스엔
  2. D판테놀연고(동아제약): 1,2-펜탄디올, 디메티콘, 디프로필렌글리콜, 라놀린, 모노앤디글리세리드, 부틸렌글리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쉐어버터, 스테아르산, 자기유화형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잔탄검, 정제수, 팔미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3. 덱스파놀연고(태극제약):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농글리세린, 디메티콘, 백색바셀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정제수, 카보머호모폴리머,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트롤아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플록사머,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4. 경동판테놀연고(경동제약):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메틸파라벤, 백색바셀린, 세탄올, 세틸팔미테이트, 스위트허브향(HF-92304), 스테아릴알코올, 알로에베라겔, 유동파라핀, 정제라놀린, 정제수,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폴리소르베이트60,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파라벤
  5. 조아덱스판크림(조아제약, 제조자:제뉴파마): 경질무수규산,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부틸렌글리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시트르산수화물,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 옥수수전분, 유동파라핀, 정제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6. 판테뉴크림(경남제약): 조아덱스판크림과 동일

 

제품명비판텐연고D판테놀연고덱스파놀연고경동판테놀연고조아덱스판크림판테뉴크림
회사바이엘코리아동아제약태극제약경동제약조아제약경남제약
사진
x
유효성분Dexpanthenol 50mg/g
첨가제백납,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유동파라핀, 
정제라놀린, 
정제수, 
정제아몬드유, 
파라핀소프트납, 
프로테진엑스엔
1,2-펜탄디올, 
디메티콘,
디프로필렌글리콜,
라놀린,
모노앤디글리세리드,
부틸렌글리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쉐어버터,
스테아르산,
자기유화형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잔탄검,
정제수,
팔미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농글리세린,
디메티콘,
백색바셀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정제수,
카보머호모폴리머,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트롤아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플록사머,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메틸파라벤, 
백색바셀린, 
세탄올, 
세틸팔미테이트, 
스위트허브향(HF-92304), 
스테아릴알코올, 
알로에베라겔, 
유동파라핀, 
정제라놀린, 
정제수,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폴리소르베이트60,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파라벤
경질무수규산,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부틸렌글리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시트르산수화물,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 
옥수수전분, 
유동파라핀, 
정제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사진 출처: 각 회사 홈페이지
 

덱스판테놀 효능, 효과, 작용기전

덱스판테놀은 판테놀의 D, L 이성질체 중 D-판테놀이며 생물학적 활성이 있습니다. (L-판테놀은 보습력은 있음)
덱스판테놀은 체내에서 판토텐산(비타민 B5)으로 전환되며,
판토텐산에 비해 피부막을 잘 투과하고 상처 부위 등에서 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판토텐산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상적인 피부 기능에 필수: 판토텐산은 코엔자임 A의 구성요소이고 이는 기본적인 에너지 대사(탄수화물, 지방산, 단백질, 포도당 신생합성, 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포르피린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보습제 역할: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합니다.
  3. 피부 재생의 가속화: 상처 치유와 관련된 섬유아세포 증식을 활성화합니다.
  4. 항염증 효과: 자외선으로 인한 홍반에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5. 흉터 치료: 피부 이식, 화상 흉터치료의 효과가 입증되어 실리콘 복합제의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6. 보조적 피부 관리: 3~4주에 걸쳐 피부 건조, 거칠어짐, 각질, 가려움증, 홍반, 피부 자극증상이 개선되었습니다.

판토텐산이 결핍되면 피부염, 점막 염증, 색소침착 장애가 유발되며 상피 조직의 성장이 저해됩니다. 상처 피부에는 코엔자임 A의 필요량이 증가하므로 덱스판테놀 도포 시 상처 치유를 촉진합니다.
 
덱스판테놀은 보고된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피부 염증, 상처, 건조, 화상 등 다양한 피부 문제에 대한 치료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사용 전에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사용법 및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효능 효과

기저귀 발진, 찢긴 상처(수유기 중의 유두 균열, 갈라짐 등), 급성&만성 피부염, 습진, 피부궤양, 상처, 화상, 욕창, 햇볕에 탄데(일광 피부염)의 보조치료로 허가받았습니다.(연고류)
크림류는 치료로 허가받았습니다.
 
용법 용량
1. 상처를 청결히 한 후 환부에 1일 수회 바릅니다.
2. 수유기 중 유두균열에는 매 수유 직후 유두에 바릅니다. (약 적용시간 최대, 아기와의 접촉 최소)
 

덱스판테놀 금기 및 부작용

감염성, 삼출성 피부염 환자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1차 치료로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드물게 알레르기 피부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 때는 사용을 중지해야 합니다.
눈에 닿지 않게 합니다.
수유 중 이 약을 도포했을 경우, 모유 수유 전에 닦아내야 합니다.
 

첨가제

비영리 환경단체인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의 홈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
 

EWG는 모든 성분을 hazard score로 위험도 등급 1~10까지 나누고, 저위험도, 중위험도, 고위험도로 크게 나눴습니다.
숫자가 낮을수록 발암, 알레르기, 독성 등 위험이 낮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의 신뢰도에 따라 정보를 알려줍니다.
 
첨가제 성분을 영어로 전환하여 검색하면 내용을 볼 수 있고
혹시 안 나오면 동의어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여담이지만,
비판텐연고 첨가제인 '백납'부터 번거로웠습니다.
'백납'은 국어사전에 '백랍'이라고 수록되어 있고 영어로 white wax인데 검색하면 안 나옵니다.
beeswax로 검색해야 내용을 볼 수 있고 동의어에 white wax라는 설명이 작게 있었습니다.

 
 
 

비판텐연고(바이엘코리아)

EWG 1: 백납(백랍, Beeswax), 세탄올(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정제라놀린, 정제수, 정제아몬드유, 파라핀소프트납(white soft paraffin)
EWG 3 :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mineral oil)
EWG 1~5: 프로테진엑스엔(protegin xn)-Evonik 회사에서 공급하는 원료로
Paraffinum Liquidum, Petrolatum, Ozokerite, Glyceryl Oleate, Lanolin Alcohol 혼합물입니다.
 

D판테놀연고(동아제약)

EWG 1: 1,2-펜탄디올(펜틸렌글리콜, Pentylene Glycol), 라놀린, 모노앤디글리세리드(Mono and Diglycerides), 부틸렌글리콜,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Cetearyl alcohol), 쉐어버터, 스테아르산, 자기유화형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잔탄검, 정제수, 팔미틴산
EWG 2: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EWG 4: 디메티콘
 

덱스파놀연고(태극제약)

EWG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Glyceryl Stearate SE, self-emulsifying Glyceryl Monostearate),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Cetear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 정제수, 카보머호모폴리머
EWG 2: 농글리세린, 플록사머
EWG 3: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에틸렌글리콜400(PEG-400)
EWG 4: 디메티콘, 파라옥시벤조산메틸
EWG 5: 백색바셀린(Petrolatum White)
EWG 6: 트롤아민(트리에탄올아민)
EWG 9: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프로필파라벤) - 내분비교란 주의
 

경동판테놀연고(경동제약)

EWG 1: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세틸팔미테이트, 스테아릴알코올, 정제라놀린, 정제수
EWG 3: 알로에베라겔,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mineral oil),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폴리소르베이트60, 프로필렌글리콜
EWG 4: 메틸파라벤, 스위트허브향(HF-92304, flavor)
EWG 5: 백색바셀린(Petrolatum White)
EWG 9: 프로필파라벤 - 내분비교란 주의
 

조아덱스판크림(조아제약, 제조자:제뉴파마)

EWG 1: 경질무수규산(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colloidal Silicon Dioxide),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부틸렌글리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Disodium EDTA), 옥수수전분(Corn Starch), 정제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EWG 2: 시트르산수화물(Monohydrate Citric Acid)
EWG 3: 유동파라핀,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PEG 40 Stearate)
EWG 4: 디메티콘, 파라옥시벤조산메틸
EWG 9: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 내분비교란 주의
 

결론

각 첨가제 성분의 자세한 EWG 등급 및 신뢰도는 직접 검색해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성분은 등급이 1~3으로 되어있는 것도 있고, 용량 의존적으로 등급이 매겨지기도 하고, 흡입하기 쉬운 제형일수록 등급이 높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대부분 EWG 1~6인 경우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EWG 9 인 프로필파라벤(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의 경우에는
사람에게서 내분비계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논문(에스트로겐, 갑상선 호르몬 등)이 있고,
알레르기 및 면역독성을 일으킬 가능성, 생식 독성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덴마크에서는 안전성 부족으로 3세 이하 영유아 화장품에는 프로필, 부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파라벤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파라벤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파라벤이 있고 탄소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체내 흡수율이 높아서 위험도가 높아짐)
화장품이나 외용제 첨가제는 아니지만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는 프로필파라벤을 식품첨가물로 사용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하여 2027년부터 발효될 예정입니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파라벤 4종 위해성평가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2020년도 파라벤류 4종 통합위해성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파라벤 4종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음용수에서도 쉽게 노출이 가능하고
위험성 정보가 많이 보고 되고 있어서 위해성평가 대상으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파라벤 노출이 적은 편이고,
파라벤 자체로는 체내에 축적되는 물질이 아니라 소변으로 빠르게 배설되며
제품에 파라벤 첨가 시 방부 효과를 주는 최소 용량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노출량 부분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
하지만 위험성 정보는 계속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파라벤을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안전성이 보장된 농도, 용량 이하로 사용해야 합니다.
안전 규격에 부합하는 농도 이하로 사용하면
살균, 방부 목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꼭 방부제로 프로필파라벤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아기에게 기저귀발진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비판텐연고와 동아제약 D-판테놀연고 중에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참고:
www.ewg.org/skindeep
식품의약품안전처
https://www.nifds.go.kr/brd/m_271/view.do?seq=12548

위해평가 정보방 > 위해평가 보고서 > 파라벤류 4종(에틸파라벤,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

파라벤류 4종(에틸파라벤,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통합위해성평가 보고서입니다. 본 위해평가 보고서는 일부 내용만을 발췌하여 이용하고자 할 경우 보고서의 전체 내용이 왜

www.nifds.go.kr

약학정보원
 
 

반응형